[투자]전환을 가져올 1분기 수익보고 시즌과 향후 주목해야할 섹터

현재 시장의 위치는?

2021년 1분기에 대한 수익보고 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번주 미국의 4대 은행인 JP Morgan Chase[JPM], Bank of America[BAC], Citigroup[C], Wells Fargo[WFC]의 수익보고를 시작으로 언제나 그렇듯이 파이낸셜 섹터가 어닝시즌의 킥오프를 알릴 예정입니다.

이번 어닝시즌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신음한 작년 이후, 백신의 접종이 가속화되며 팬데믹 종식이 가시화되고 있는 2021년의 첫 실적보고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제 시장은 팬데믹 이후, 회복의 시작을 알릴 1분기 실적보고와 함께 미국 경제가 1980년대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기업들의 전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물론 의문은 있습니다. S&P500은 이미 4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지금 이미 10%에 가까운 상승세[YTD 9.92%]를 보이고 있어 과연 시장이 어느정도의 회복과 성장을 반영하고 있을것인가 하는 점입니다.

현재 S&P500은 12개월을 선행하는 미래 수익 전망치에 약 24배에 가까운 수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골디락스라 불렸던 최근 10년간 S&P500의 평균치가 16배이고 5년 평균치가 18배 수준이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현재 주식시장은 상당히 고평가된것이 사실입니다.

S&P500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률과 평균

Source: Factset

보수적으로 책정된 수입전망

고평가 된 증시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률[P/E ratio]을 평균치인 16배로 내리려면 주가가 그만큼 낮아지던가 아니면 수익이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밖에 없습니다.

증시의 밸류에이션을 평균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2023년의 수익이 현재 월가의 전망치보다 약 15%가량 더 높아야 합니다. 물론 올해 성장에 대한 기대가 큰 만큼 이는 전혀 불가능한 스토리는 아닙니다. Bloomberg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여러 경기부양책은 기업들의 이러한 성장세에 부스터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미 시행되고 있는 경기부양안으로 인해 월가는 올해 S&P500의 주당순이익[EPS]가 $174로 26%나 급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물론 추가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어 올해 이익은 낮게는 주당 $152에서 높게는 $202까지 전망이 있을정도로 상당히 광범위합니다.

다만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을 어느정도까지 신뢰하고 기업들의 전망이 이를 상회할 것인가에 대한 기대는 예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동안 애널리스트들이 분석한 기업들의 수익 전망치와 실제기록은 최근 5년동안 평균적으로 약 3% 수준의 차이밖에 나지 않을정도로 예리했지만 팬데믹 이후,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은 시장의 실제 수익과 수십퍼센트의 차이가 날 정도로 전혀 맞지 않았습니다.

작년 1분기에는 기업의 실적이 월가의 전망보다 20% 넘게 악화되었고 2분기부터는 월가의 전망보다 15%~20%이상의 차이를 보이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팬데믹 이후, 너무 커진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월가의 내놓라하는 애널리스트들도 기업들의 수익에 대한 정확한 전망을 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최근 3분기동안 15% 이상 전망을 상회한 기업들의 수익은 현재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실제보다 높지 않을수도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도 있을것입니다.

애널리스트 전망치와 실제수익 차이

분석가들은 대유행 수입을 예측하는 데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가의 수익 전망치를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팬데믹의 종식이 가시화되고 경제가 재개되면서 시장이 정상화될수록 애널리스트들의 분석또한 그 예리함을 찾을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월가는 1분기 S&P500 기업들의 수익 성장률이 24.5%에 달할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예상을 상회한 기업들이 평균적으로 75%이상 대다수를 차지했다는 점에서 실제 기업들의 수익은 최소 28%이상 더 높게 발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Factset

만일 28%의 수익성장이 현실화될 경우 이는 S&P500의 수익이 10년래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이 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지난 5년동안 S&P500 기업이 보고했던 실제 수익은 예상수익을 항상 평균 6.9%가량 초과했고 전망을 초과한 기업들의 비율이 74%를 넘었다는 점에서 이는 크게 놀라운 일은 아닙니다.

더군다나 지난 3분기동안 기업들의 수익이 예상수익[Estimated Earnings]보다 평균 19%나 초과하는 굉장한 어닝 서프라이즈를 계속해서 발표했다는 사실은 올해 1분기 수익시즌에 대한 전망이 예상보다 더 보수적으로 책정되어있을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물론 단순계산이긴 하지만 월가가 전망하고 있는 1분기 수익성장률[Earning Growth]인 23.8%를 지난 3분기동안의 평균 초과치인 13.8%에 적용하면 실제 수익성장률은 1분기에 무려 37%를 넘는다는 점에서 이번 어닝시즌에 시장의 기대가 계속 커지는 이유가 이해가 될 수 있을것입니다.

섹터별 S&P500 1분기 수익성장 전망

Source: Factset

현재[4/9일 기준] Factset이 보고있는 S&P500 1분기의 수익성장률은 24.5%입니다. 이는 3/31일 전망했던 23.8%에서 더 오른 수준입니다. Factset

Factset은 올해 1분기 11개 섹터중 가장 높은 수익 성장률은 자유소비재 섹터가 될것으로 보고 있으며 성장세는 무려 작년동기대비[YoY] 103%가 넘어 10개의 산업군중 9개가 두배가 넘는 수익성장을 보일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1분기 수익성장이 전혀 기대되지 않는 섹터는 코로나로 여전히 상당한 피해를 입고있는 호텔과 레스토랑등 여행/레져관련 산업으로 전년동기대비 무려 -651%의 차이를 보일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이는 2분기 들어 팬데믹의 종식이 가시화되면서 가장 큰 수혜를 받는 산업군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현재 주가에 반영이 이미 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자유소비재 다음으로 1분기 수익성장이 기대되는 섹터는 금리와 물가상승에 가장 큰 수혜를 입은 파이낸셜 섹터와 원자재섹터로 파이낸셜의 경우 78%의 전년동기대비 성장, 원자재의 경우 46%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반면 2분기의 경우는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백신접종이 완전면역에 가까울 정도로 이루어지면서 경기재개가 확실시 되고 있어 가장 큰 수혜는 에너지 섹터가 가지고 갈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으며 뒤를 이어 인프라 부양책의 수혜를 받을 산업섹터[Industrial]가 무려 324%의 수익성장을 볼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뒤를 이어 자유소비재가 181%, 파이낸셜이 100%, 원자재가 85%로 S&P500의 수익성장률인 53%를 상회할 것으로 보입니다.

섹터별 S&P500 1분기 매출성장 전망

Source: Factset

S&P500 기업들의 1분기 매출 성장세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약 6.4%가 상승했을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이는 5년 평균인 3.5%의 두배수준으로 만일 실제로 매출성장이 동일할 경우 이는 2018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매출성장세로 기록이 될 것입니다.

경제가 재개되고 있지만 여전히 매출성장세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섹터[Information Technology]가 가지고 갈 것으로 보이며 기술섹터 6개의 산업군중 무려 4개가 연간기준 10%가 넘는 매출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매출 성장세는 하드웨어, 저장장치, 부품산업이 25%로 가장 높을것으로 보이며 뒤를 이어 반도체/부품이 20%, 소프트웨어가 17%, 전자기기가 14%의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기술섹터의 뒤를 이어 역시 자유소비재가 10개의 산업군중 6개가 10%의 연간매출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고 커뮤니케이션 섹터또한 Google[GOOGL]과 T-Mobile[TMUS]이 섹터를 리드하며 연간기준 약 12%의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2분기 전망치의 경우 상황이 완전히 반전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경제가 정상화 되는 시점이니만큼 에너지가 무려 전년동기 대비 76%의 매출성장세를 보여 압도적인 리드를 하고 뒤를 이어 자유소비재가 29%, 원자재가 25%, 산업이 20%, 커뮤니케이션이 19%로 S&P500의 평균 16.7%의 매출성장세를 상회하는 섹터가 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주목해야할 섹터

기업들의 수익과 매출은 빠르게 상승할것이라는 기대와는 다르게 여전히 세상은 코로나에 신음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신규확진자가 이제 8만명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유럽은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이 에픽센터로 확산세를 보이고 있으며 인도와 브라질은 통제불가능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은 있습니다.

세계 경제의 주축인 미국과 유럽의 백신접종속도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전 국민의 50%이상이 백신을 접종받으며 사실상 완전면역에 들어선 이스라엘과 같이 미국과 유럽도 2분기에는 전국민들이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배포가 될것이 확실시 되고 있습니다.

에너지 섹터는 작년말부터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인바 있지만 올해 3월 중순이후 팬데믹의 재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수요의 둔화우려, 그리고 여기에 OPEC+멤버의 증산으로 한동안 힘을 잃은바 있습니다.

하지만 2분기 세계 경제의 주축인 미국과 유럽이 정상화가 되면서 수요에 대한 기대는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2분기 매출성장 전망이 다른 섹터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반영이 되고 있으며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에너지 섹터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률은 S&P500의 평균을 밑돌만큼 저평가되어있다는 점입니다.

파이낸셜 섹터의 경우 경제회복세가 확연히 들어날수록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시장금리에 수혜를 확실히 받을 수 있는 섹터로 주가수익률이 15배에 불과한 가장 저평가된 섹터이자 2분기 수익성장률은 전년대비 두배수준으로 상승할 전망이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할 것입니다.

기술주의 경우 미국채 수익률이 계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가장 큰 타격을 보고있는 대표적인 성장주 섹터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부채가 전세계적으로 향후 금리의 상승세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상황에서 시장의 예상보다 저금리 상황이 더 오래 갈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금리의 상승세를 압도할만큼 여전히 강한 성장세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버블랠리의 한 축을 차지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섹터라 할 수 있을것입니다.

Factset은 2분기에는 11개의 섹터중 에너지 섹터가 가장 큰 업사이드[+15.6%]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을것으로 분석한 반면 산업섹터는 가장 작은 3.9%의 업사이드만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S&P500의 기업중 애널리스트 투자의견[ratings]은 총 10,392개로 전체의 55.8%가 매수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37.3%가 홀드 6.9%만이 매도의견을 제시할 정도로 압도적으로 매수의견이 많은 상황입니다.

이 중 기술주가 62%로 가장 많은 매수의견을 보유한 섹터이며 다음으로는 헬스케어가 62%, 에너지가 61%, 커뮤니케이션이 58%, 자유소비재가 56%로 S&P500의 평균 매수의견보다 많은 매수의견을 보유한 섹터들입니다.

무엇보다 2분기 S&P500의 어닝성장률은 53.1%에 매출 성장률은 16.7%로 역대 최대수준을 보일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4월부터 시작되는 이번 어닝시즌은 1분기의 실적보다는 2분기에 대한 기대가 더 강하게 반영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섹터별로 보는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률 vs 평균치

Source: Factset

이전글>>> [투자]반세기만에 돌아오는 원대한 미국의 경제 프로젝트와 수혜산업

이전글>>> [투자]시장의 지각변동을 가져올 증세안과 영향을 받을 섹터와 기업

이전글>>> [투자]잔혹했던 2020년과 전환의 시기를 맞이하는 에너지섹터 2/2/21

이전글>>> [투자]쉽없이 달려온 유가와 에너지섹터를 향한 정상화의 도전 3/17/21

ITK Best Investment Articles

1. 초보투자자를 위한 미국주식 투자의 기초
2. 은퇴플랜을 위한 배당주 투자
3. 배당주 투자의 기초정보
4. 리스크매니지먼트에 대한 모든것
5. 주식투자 브로커 선택하기[Best Broker for 2020]
6. 주식초보를 위한 최고의 온라인 브로커 앱
7. 은퇴플랜의 기초
8. IRS의 세금혜택이 있는 IRA 은퇴플랜
9. 주식투자와 세금보고 Capital Gain/Loss Tax
10. 401(k) 플랜 롤오버 가이드

미국 경제와 자산시장동향, 부동산 정보를 한눈에

ITK 소셜네트워크

투자성향에 따른 자산배분과 기대수익

Check Also

[투자]오늘의 비지니스와 경제: 04/28/2021

오늘의 비지니스와 경제 월가 모닝브리핑 구글의 알파벳(GOOGL)이 디지털광고 매출에 힘입어 기록적인 1분기 실적을 보고하며 시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