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비지니스와 경제
월가 모닝브리핑
전일(5월 11일 미 현지시간) 미 증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시장을 뒤흔든 가운데 다우산업지수가 473포인트로 1.36% 하락하며 3대 지수중 가장 낙폭이 컸습니다.
반면 나스닥은 저가매수세가 등장하며 낙폭을 크게 줄이며 0.09%의 하락세로 마감했고 벤치마크 S&P500은 0.87%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원자재가 급등과 공급망의 부진이 경제 전반으로 확대되며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가 강해지고 있으나 그 양상은 2월의 것과 조금 달라보입니다.
2월은 백신접종과 경기재개, 그리고 부양책이 성장을 과도하게 빨리 만들어 긴축을 앞당길수 있다는 두려움이 시장을 지배했다면 지금은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물가를 끌어올리고 성장마저 둔화시킬수 있다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이는 당시 2월부터 3월까지 국채 수익률과 인플레 기대율, 달러가 모두 함께 오른것에서 성장에 대한 기대가 있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와함께 긴축에 대한 가능성도 함께 올랐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같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지만 미 국채 수익률은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고 인플레 기대율만 오르며 반대로 실질금리와 달러는 낮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금요일(5월 7일 미 현지시간) 노동부가 집계한 고용시장의 충격적인 보고서역시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를 낮추며 긴축에 대한 가능성 역시 함께 내려가고 있습니다.
시장의 눈이 성장에서 둔화로 바뀌는 가운데 오늘 발표되는 4월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향후 물가추세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부양책이 시행됐던 3월 0.6%가 올랐던 소비자물가지수는 4월에는 전월대비 0.3%로 소폭 둔화되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전년기준으로는 기저효과로 인해 2.6%에서 3.6%로 크게 올랐을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세가 계속되면 경기재개가 되더라도 미국인들의 소비는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주택시장의 가격상승세가 2006년의 부동산버블 당시를 능가할 정도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렌트비 상승등으로 인한 거주비용의 급격한 증가는 중저소득층의 소비를 압박할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세가 경제재개에 수혜를 받는 기업들의 수익을 위협하는 상황에까지 이른다면 시장은 실질금리의 하락과 여전히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해 기술주로 다시 눈을 돌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것입니다.
전일 나스닥의 빠른 반등과 기술 성장주의 대명사로 인식되는 아크 인베스트먼트에 저가 매수세로 거래량이 급등한 점은 시장의 관심을 끌고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물가가 너무 올라 집 밖을 나가기가 무서울정도가 된다면 다시 사람들은 집에 머물며 TV를 보고 시간을 때울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시장은 소비자물가지수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가운데 철광석 선물은 사상최고가를 경신했고 국제유가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해킹사태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시아는 대만증시가 코로나 재확산과 인플레 우려로 장중 무려 8.6%까지 폭락했다 4.1% 하락마감하며 1969년 이후 최악의 장중 손실을 기록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반도체 부족현상을 겪고있는 상황에서 대만의 코로나 확산세가 TSMC의 반도체 생산에 차질을 줄 수 있다는 공포와 인플레 우려가 합쳐져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시장은 현재 헤드라인과 핵심 인플레이션지표에 매우 민감하다. 물가상승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연준이 통제를 못할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박, 브룩스 맥도날드 최고투자 전략가
투자 인사이트
1969년 이후 최대폭의 장중 하락폭을 기록한 대만증시

월가 주요 소식
- 소비자물가지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의 인플레이션 공포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지 여부에 포커스. 1년전 유가폭락으로 인한 기저효과로 인해 전년대비 3.6%의 급등세를 보일것으로 전망.
- 타이완 증시 폭락: 대만증시는 대만의 코로나 재확산과 인플레이션 우려에 장중 8.6까지 폭락후 4.1% 급락마감. 1969년 이후 최악의 장중 손실 기록. TSMC는 장중 9.3%까지 폭락했으나 이후 손실폭을 만회하며 1.9% 하락마감.
-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미 동부로 운송하는 가솔린과 디젤 운송량의 45%를 차지하는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해킹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국제유가는 강세유지. 미국의 휘발류 평균가격이 2014년 이후 처음으로 갤런당 $3 이상으로 상승.
- SEC 경고: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비트코인 선물을 보유하고 있는 펀드 투자자들에게 투기성이 높은 자산에 대한 위험 경고.
- 샤오미 블랙리스트 해제: 트럼프 행정부 시절 중국군에 의해 통제되는 것으로 의심되어 블랙리스트에 올랐던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샤오미가 블랙리스트에서 해제. 미중간 갈등이 일부 완화되는 시그널.
경제와 자산시장동향, 투자정보를 한눈에

ITK Best Investment Articles
1. 초보투자자를 위한 미국주식 투자의 기초
2. 은퇴플랜을 위한 배당주 투자
3. 배당주 투자의 기초정보
4. 리스크매니지먼트에 대한 모든것
5. 주식투자 브로커 선택하기[Best Broker for 2020]
6. 주식초보를 위한 최고의 온라인 브로커 앱
7. 은퇴플랜의 기초
8. IRS의 세금혜택이 있는 IRA 은퇴플랜
9. 주식투자와 세금보고 Capital Gain/Loss Tax
10. 401(k) 플랜 롤오버 가이드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