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으로 돈을 벌어 불로소득[Passive Income]을 창출하는 것은 재테크를 계획하는 이들이 모두 꿈꾸는 일일 것입니다.
증시라는 것이 국가 경제에 대한 선행지표이니만큼 미국이라는 나라가 세계경제의 주도권을 잡고 갈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면 워렌 버핏이 말했듯 좋은 회사의 주식을 사서 오랫동안 가지고 있는 일명 ‘가치투자’가 절대 나쁜 투자방법은 아닐 것입니다.
금융브로커와 투자계정을 만들자
주식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은행에서 예금계좌를 만들듯이 주식을 위한 투자 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만드는 방법은 은행계좌 만드는 것과 거의 동일합니다. 개인정보를 주고 어떻게 디파짓을 할지 방법을 셋업하면 됩니다. 요즘은 온라인으로 직접 하는 경우가 많은데 투자계정과 본인의 은행 어카운트 계정을 연결하여 디파짓을 할 수도 있고 체크를 메일로 보내 디파짓을 할 수도 있습니다.
좋은 브로커는 어떻게 찾아야 할까요?
More>>> 주식투자의 첫걸음 브로커 선택하기[Best Online Brokers]
또한 브로커를 선정할때 고려해야 할 몇가지 사안이 있습니다.
어느정도 규모로 투자를 할 것인가: 주식이야 크게 상관이 없지만 요즘 온라인 브로커들의 경우 은퇴플랜 IRA, Roth-IRA를 투자하는데 No Minimum으로 가능한 곳이 많습니다. 다만 미니멈이 없을경우 Expense Ratio가 높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 주식투자의 경우 $0에서 $2,000의 미니멈 투자비용이 들어가야 하는 곳이 있으니 본인의 투자규모에 따라 선택을 해야 합니다.
얼마나 자주 트레이드를 할 것인가: 한 달에 한두번 투자를 한다면 크게 상관이 없겠지만 데이트레이딩같이 하루에도 몇번씩 할수 있거나 스윙트레이딩으로 몇일 기준으로 한다면 가랑비에 옷 젖는지 모른다고 커미션의 금액이 꽤 중요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와 지원은 잘 되는가: 요즘 온라인 브로커들은 사이트에 투자자들은 위한 리서치 툴과 교육자료, 투자가이드를 상당히 정교하게 제공합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실제 직원과도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어 서포트를 받을수 있고 여러 온라인 툴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브로커를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투자대상을 리서치후 결정하라
브로커를 결정하고 어카운트를 오픈하고 투자 금액의 디파짓을 완료하였다면 이제 무엇을 투자하느냐를 정해야 합니다.
물론 이 글은 일반 주식거래에 대한것이지만 몇가지 가능성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Stock]: 이미 상장이 되어있는 회사의 주식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AMZN], 테슬라[TSLA], 애플[AAPL]의 개별 주식을 선정하여 해당 회사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주가가 오르는만큼 Capital Gain이 일어나며 반대로 주가가 내리면 Capital Loss가 발생합니다. 주식에 따라 오래 보유한다면 회사에서 각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할 수도 있습니다.
뮤추얼펀드[Mutual Fund]: 뮤추얼 펀드란 하나의 회사를 대표하는 각각의 주식을 금융회사에서 펀드매니저의 의향대로 종류를 만들어 하나로 모아놓은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 주식 한 주, 펩시 주식 한 주, 그리고 비슷한 주식들을 모아 하나의 바스켓으로 만들어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를 하도록 한것이 뮤추얼펀드입니다.
ETF: 상장지수펀드라고 불리며 뮤추얼펀드와 비슷하지만 펀드매니저가 각 주식을 하나의 바스켓으로 모아 순자산가치로 신주가 발행이 되는 것과는 다르게 ETF는 S&P500이나 다우존스같은 인덱스펀드와 동일하게 움직이며 일반주식과 동일하게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거래가 됩니다. 따라서 어느 분야의 인덱스자체에[예를 들어 금이나 IT업계] 투자를 하고 싶을때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펀드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IRA/ROTH-IRA: 은퇴플랜으로써 뮤추얼펀드와 동일하지만 IRS에서 승인된 개인은퇴구좌로써 특정한 세금혜택등이 있습니다. IRA는 일단 투자를 하게되면 59.5세 전에는 인출이 제한되고 70.5세가 되면 인출을 꼭 해야만 되는[TRADITIONAL IRA] 규정등이 있지만 수익이 발생해도 인출전까지는 세금유예혜택이 있습니다.
어느 주식을 살지 결정이 되었다면
몇 개의 주식을 어떻게 살지 선택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물론 매우 조금부터 시작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식이라는 것이 아이러니해서 내가 사면 떨어지고 팔면 오르는 신기한 경험을 꼭 하게 되므로 처음에는 몇개 안되는 주식을 구입을 해보고 익숙해진 후에 숫자를 늘려가면서 다양하게 바스켓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인 주식거래 용어
ask
바이어를 위한 텀으로: 셀러가 주식을 파는데 승인을 할 만한 금액을 뜻합니다.
bid
셀러를 위한 텀으로: 바이어가 주식을 살만한 금액을 뜻합니다.
spread
가장 높은 bid 금액과 가장 낮은 ask 금액의 갭 차이를 뜻합니다.
Market Order
주식을 사거나 파는 순간의 시장가[Market Price]에 의존하여 즉시 거래를 진행하고자 할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Market Order의 경우 현재 거래되고 있는 시장가에 의존하여 거래를 진행하기 때문에 buy나 sell을 실행했을때 본인이 방금 본 그 금액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투자자가 거래를 실행하는 그 순간에도 순식간에 많은 거래가 발생하여 변동성이 커져 달라질수 있기 때문입니다.
Limit Order

주식이 특정한 금액에 도달하면 투자자가 원한 금액이나 그 이상으로 buy나 sell을 실행하길 원할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산 금액보다 낮은 금액에 사고싶을때 [시장이 떨어질때 원하는 금액대에서 자동으로 buy] 혹은 현재 산 주가에서 금액이 어느정도 도달하면 자동으로 팔고싶을때 사용합니다.
Stop(or Stop Loss) Order
주식이 어느 금액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market order가 실행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하락장에 손해를 줄이는 손절을 할때 사용하거나 상승장에 따라 가길 원할때 사용합니다.
Stop-limit Order
주가가 투자자가 지정해놓은 Stop Price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market order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limit order로 전환이 되어 stop price와 limit price 사이의 금액으로 거래가 실행됩니다.
이 외에도 많은 화려한 거래 종류가 있지만 지금 모두 알 필요는 없으며 사실상 기본적인 거래는 Market Order와 Limit Order로도 많은 투자자들이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아왔기 때문에 세세한 거래기술보다는 전체적인 시장을 보는 눈을 길러야 합니다.
투자성향에 따른 자산배분과 기대수익
주식투자 기초 관련 글
More>>> 은퇴플랜의 기본 IRA
More>>> 401K 플랜 투자시 알아두어야 할 점
More>>> 초보투자자의 미국주식 투자하기
More>>> 배당주 투자의 기초 101
More>>> 401K 플랜의 기초
More>>> 초보투자자를 위한 온라인 앱 선택가이드
More>>> 적립식분할매수 DCA 투자전략
More>>> 주가수익률 Price to Earnings ratio – PER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