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대폭락전 빠짐없이 나왔던 힌덴부르크 오멘 출현

최근 뉴욕 증시에서 대폭락을 예고하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경제매체 마켓워치는 증시폭락을 암시하는 지표인 ‘힌덴부르크 오멘’이 주식시장을 드리우고 있다며 현재 나타나고 있는 징후를 간과해선 안 된다고 경고한 보고서 내용을 1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힌덴부르크 비행선/게티이미지

힌덴부르크 오멘은 1937년 착륙 과정에서 폭발한 독일의 초호화 비행선 힌덴부르크호에서 따온 용어로 수학자 짐 미에카가 각종 기술적 지표를 분석해 고안해 냈다.

힌덴부르크 오멘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52주 고점 종목 수가 52주 저점 종목 수의 2배를 넘지 않고 ▲52주 고점과 저점을 찍은 종목 수가 전체 거래 종목의 2.2% 이상이며 ▲52주 고가와 저가 종목 중 적은 쪽이 69개 이상 ▲종합지수의 10주 이동평균선이 상승 ▲단기 주가 상승 모멘텀을 나타내는 ‘맥켈란 오실레이터’ 지표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5가지 조건이 나타나는 것이다.

지난 16일(현지시각) 미국의 주요 지수인 S&P500과 다우존스산업평균은 상승마감했지만 막상 속을 뜯어 보면 52주 최저점을 찍은 종목 수가 최고점을 찍은 종목 수보다 더 많았다.

선다이얼 캐피탈 리서치의 제이슨 조퍼트 회장은 이같은 현상을 힌덴부르크 오멘 중 하나라고 지적하며 “지수와 종목간 부조화는 지난 2015년 7월 이후 나타나지 않다가 최근 6거래일 중 5번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힌덴부르크 오멘, 증시 대폭락 예고…간과해선 안돼"

가장 최근에 힌덴부르크 오멘 이후 하락장이 나타났던 경우는 2007년이었다. 2007년 11월 힌덴부르크 오멘이 나타나고 일주일이 지나 S&P500은 1.6% 하락했다. 그리고 2주일이 지나 2.3% 떨어졌다. 1년이 지나 S&P500은 40% 가량 하락했다.

올해 들어서 다우존스산업평균, S&P500, 나스닥, 러셀2000 등 주요 4대 지수에서 하락을 암시하는 현상들이 빈번히 발생했다. 조퍼트 회장은 “2007년 11월 사건 때 78번의 징후가 포착됐는데, 올해는 현재까지 총 74번의 힌덴부르크 오멘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그는 “2000년 하락장 때는 57번, 2015년 조정 때는 54번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징후로서 나스닥지수는 올해 사상최고치를 수없이 새로 기록한 가운데 현재 지수에 속한 종목 중 절반도 안 되는 숫자만이 50일 이동평균선과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거래되고 있다.

조퍼트 회장은 “(지수가 고공행진 하는데 각 개별 종목들의 대다수가 부진한 경우는) 2007년과 2014년 두 차례 발생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같은 신호가 반드시 증시 폭락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라며 “지난 2015년 5월 힌덴부르크 오멘은 잘못된 신호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럼에도 여러 지수에 있어서 징후들이 명백하고 빈번하게 포착되고 있고 이는 약세장의 좋은 빌미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침 17일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치 불확실성이 촉매제가 돼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은 1.24%, S&P500은 1.54%, 나스닥은 1.94%, 러셀2000은 1.78% 하락하며 마감했다.

러셀2000을 제외한 3대 지수가 1% 이상 떨어진 경우는 최근 3개월 동안 처음 있는 경우다. 또 다우존스와 S&P500가 17일 기록한 하락폭은 3개월 중 가장 큰 하락폭이다.

Check Also

증시 대폭락전 빠짐없이 나왔던 힌덴부르크 오멘 출현

최근 뉴욕 증시에서 대폭락을 예고하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경제매체 마켓워치는 증시폭락을 암시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