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m Life Insurance는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소멸하기 때문에 기간성 보험이라고도 하며 수익원이 되는 가장의 예상치 못한 이른 사망으로 인해 가족이 받게될 수있는 경제적 고통을 덜어주는 역활을 하게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생명보험의 형태이기 때문에 다른 생명보험 플랜에 비해 가장 저렴하며 상대적으로 나이가 젊은 신혼부부나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혹시모를 불의의 사태를 대비하여 구입하는 가장 대표적인 생명보험입니다.
보통 10년에서 20년 혹은 30년까지의 기간동안 커버를 하며 그 기간내에 보험자가 사망을 하면 수혜자[가족이나 지정인]가 보상금을 지급받게 되는 형식입니다.
매달 납부해야되는 보험금은 가장 저렴하면서 보상금은 높게 지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생명보험이기도 합니다.
Pros / 장점
- 보험비가 저렴하며 Whole Life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받는 보상금은 크다.
- 보험비가 적립되지 않으며 기간이 완료가 되면 계약이 자동소멸하여 아무런 보상을 받을 수 없다.
ROP는 보험비를 적립하여 30년등의 계약이 완료가 되면 100% 환불을 해주는 추가조항을 뜻합니다. 따라서 Term Life의 성격상 계약이 완료가 되면 보험비도 모두 사라지는 것이 아까운 소비자를 위하여 고안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ROP는 보험비 원금만을 환급하여 주며 이자가 쌓이지는 않습니다.
또한 요즘 Term Life의 경우 계약이 완료가 되면 Permanent Life Insurance로 건강검진없이 바로 계약을 할 수 있는 Term Conversion Rider가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는 추세입니다.
누구를 위한 보험일까요?
-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생명보험을 원하는 가정
- 불의의 사고[사망]을 대비하여 큰 보상금의 ‘순수한 보험’을 원하는 가정
- 가장의 사망시 갚아야 할 주택 모기지등이 있는 가정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SNS에 공유를 해주시거나 오른쪽의 페이스북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One comment
Pingback: [생명보험] Term Life vs Whole Life – 아이테크코리아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