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가장 저렴한 건강보험을 찾는 방법

저렴한 건강보험을 찾는 방법

미국에서 살면서 가장 어려운 점 하나가 건강보험입니다. 직장에서 제공하는 건강보험도 100% 지원을 해주지 않는이상 부담이 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2018년 기준으로 미국의 개인 건강보험비는 평균 $574이었습니다. 이 정도 수준의 비용은 저소득층만이 아닌 중산층에게도 부담스러운 가격입니다.

회사에서 제공을 하지 않는 경우 결국 건강보험을 따로 가입해야 하는데 이 역시도 보험비가 정말 만만치 않습니다.

수익이 적은 저소득층이라면 메디케이드라도 받을 수 있지만 이마져도 미국에서 5년이상 거주한 영주권자나 가능한 일이고 이마저도 수많은 제약과 규제가 있어 쉽지 않습니다.

미국에서 우리 집 사정에 맞는 건강보험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본인과 가정의 상황을 확실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건강보험은 가족상황과 수익, 그리고 자녀여부에 따라서 가질 수 있는 옵션이 달라지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메디케이드[Medicaid]

일단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옵션은 메디케이드입니다.

가장 저렴한 건강보험 옵션이지만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등록할 수 있는 자격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메디케이드는 정부에서 정한 빈곤률 이하의 소득을 가지고 있는 합법적인 거주자라면 받을 수 있는 건강보험 혜택입니다.

소득이 연방정부가 제안하는 연방빈곤률[FPL]의 133% 혹은 138%미만이어야 하며 특히 자녀가 있는 저소득층이라면 주정부에서 제공하는 메디케이드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일 자녀가 있다면 주정부에서 제공하는 자녀를 위한 건강보험 혜택인 CHIP[Children’s Health Insurance Program]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메디케이드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자녀들을 위한 프로그램이긴 하나 주에 따라 성인까지 포함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의 주정부 사이트에 가서 자격기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Link>>> HealthCare.gov의 CHIP 프로그램 안내

Link>>> 각 주정부별 메디케이드와 CHIP 건강보험 프로그램 안내

고용주가 제공하는 건강보험

만일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 건강보험을 제공한다면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느정도 규모의 기업혹은 대기업에서 건강보험을 제공하며 기업의 건강보험은 그룹 플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개인 보험보다는 보험료가 낮습니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건강보험비의 일부 혹은 전체를 커버해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훨씬 저렴한 금액에 건강보험을 가입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본인을 포함한 가족들의 건강보험을 함께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을 위한 보험도 회사에서 제공한다면 최상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HealthCare.gov

본인이 직접 건강보험을 구매해야 한다면 가장 저렴하게 쇼핑을 할 수 있는 곳은 Affordable care act를 통해 주정부와 연계된 건강보험 마켓인 HealthCare.gov입니다.

HealthCare.gov는 개인이 직접 보험사를 통해 가입하는 것보다 더 저렴하게 건강보험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공개 가입기간[2020년의 경우 2019년 11/1일부터 2019년 12/15일까지]동안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 역시 주정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결혼혹은 아이가 생기는등의 특별한 라이프 이벤트가 있을경우 연장등록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HealthCare.gov에서 제공하는 건강보험은 아래의 10가지 기본 혜택을 제공해야 하는 건강보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Outpatient care [외래진료]
  • Emergency room visits [응급실]
  • Hospitalization [병원 입원]
  • Maternity and newborn care [임산부 케어]
  • Mental health and substance use disorder services [정신과 서비스]
  • Prescription drugs [처방약]
  • Rehabilitative services [재활치료]
  • Laboratory services [검사 테스트 서비스]
  • Preventive services [예방 검진 서비스]
  • Dental care and vision care for kids [소아 치과및 안과]

HealthCare.gov에서 제공하는 건강보험은 각각 세개의 다른 옵션[Bronze, Silver, Gold]으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다른 커버리지가 있습니다.

Bronze: 가장 저렴한 비용, 높은 개인 비용

건강보험중 Bronze 레벨은 주정부에서 제공하는 가장 저렴한 보험료이지만 그만큼 디덕터블과 코페이등 본인이 지출해야 하는 금액은 높습니다.

따라서 병원을 자주 다니고 의료비가 많이 들 것으로 예상이 되면 브론즈 레벨을 선택할 경우 Out of Pocket 금액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선택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애뉴얼 첵업및 혹시모를 상황을 대비하여 건강보험을 보유하길 원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플랜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Silver: 중, 저소득층을 위한 적당한 선택

실버플랜은 적당한 수준의 보험료와 디덕터블, 그리고 코페이와 자기부담금[Out of Pocket]이 있는 플랜입니다.

보험료는 브론즈보다 약간 높지만 그만큼 병원에 갈때마다 내야하는 코페이 비용이나 디덕터블, 자기 부담금은 더 낮습니다.

따라서 자녀가 있거나 병원을 정기적으로 가야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플랜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Gold: 높은 보험료, 낮은 본인부담금

골드플랜은 HealthCare.gov 마켓플레이스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높은 금액의 플랜입니다. 개인이 내야하는 비용인 코페이와 디덕터블, 자기부담금등이 가장 낮게 설정이 되어있지만 그만큼 한달에 내야하는 보험비는 가장 비쌉니다.

따라서 골드레벨의 보험을 선택하는 경우는 매년 비싼 처방전의 약값을 지불해야 하거나 병원을 정기적으로 다녀야해서 기본적으로 높은 의료비가 들것으로 예상이 되는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이 외에도 플래티넘 레벨이 있을수 있으며 이는 디덕터블이 $0인 경우도 있습니다만 주정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보험비의 세금공제 가능성

아무리 낮은 보험비의 건강보험이라고 해도 1인당 비용은 여전히 머리를 흔들정도로 높은것이 사실입니다.

이는 특히 중저소득층에게는 감당하기 쉽지 않은 일입니다.

미 정부는 이를 위해 보험비를 공제받을수 있는 Premium Tax Credit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험비를 감당하기 위해 일종의 보조금을 정부에서 제공하는 셈인데 이를 받기 위해서는 HealthCare.gov에서 보험을 구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Premium Tax Credit을 받는 자격이 되기 위해서는 연방빈곤률 100%-400%이내에 소득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보조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 경우 마켓플레이스[HealthCare.gov]에서 자동으로 보험사에 크레딧을 보내 월 보험료에 적용이 됩니다. 이런 경우 빈곤률에 따라 보험률이 적게 적용되거나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연방 빈곤률에 따른 소득[2020년 기준]

가구수100%133%138%150%200%250%300%400%
1$12,760$16,971$17,609$19,140$25,520$31,900$38,280$51,040
2$17,240$22,929$23,791$25,860$34,480$43,100$51,720$68,960
3$21,720$28,888$29,974$32,580$43,440$54,300$65,160$86,880
4$26,200$34,846$36,156$39,300$52,400$65,500$78,600$104,800
5$30,680$40,804$42,338$46,020$61,360$76,700$92,040$122,720
6$35,160$46,763$48,521$52,740$70,320$87,900$105,480$140,640
7$39,640$52,721$54,703$59,460$79,280$99,100$118,920$158,560
8$44,120$58,680$60,886$66,180$88,240$110,300$132,360$176,480
*D.C를 포함한 48개주이며 하와이와 알라스카는 별도

Link>>> 연방빈곤률 각 주별, 연간/월간 기준으로 자세히 보기

ITK Best Life Articles

1. 소셜시큐리티 베네핏 소셜연금의 모든 것
2. 소셜연금은 언제부터 수령을 해야할까?
3. 미국은행계좌의 기초 Checking vs Saving
4. 메디케이드 자격조건과 기본혜택
5. 크레딧점수를 좋게 유지하는 방법
6. 메디케이드 승인자격을 위한 자산조정전략
7. 메디케이드 수혜자는 집을 뺏긴다? Death Tax
8. 미국 타운별 학군 확인하는 법
9. 미국 시민권 신청가이드
10. 크레딧 무료 모니터링 서비스

ITK 소셜네트워크를 방문해 보세요!

크레딧카드 혜택에 따른 비교

Check Also

[Life]저축성 생명보험의 종류와 수익

저축성 생명보험의 종류 생명보험은 종류가 많지만 크게는 Term Life Insurance, Whole Life Insurance, 그리고 Index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