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개장전 주요 소식
1. 이번주 각국의 통화정책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각국 중앙은행들의 미팅이 이번주에 예정되어 결과를 기다리며 달러화 하락.
일본은행이 이틀간의 미팅을 이번주 화요일에 마칠 예정이며 미 연준은 통화정책을 이번 수요일에 결과를 낼 예정. 영국은행은 목요일 예정.
또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와 페이롤 지표등도 이번주에 쏟아져 나올으로 시장의 포커스.
달러 인덱스는 0.15%가량 하락한 94.34,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소폭 상승하여 2.98%, 2년물 단기국채 금리는 2년래 최고치인 2.68%.

2. 이번주 140개가 넘는 S&P500 기업들이 어닝을 발표할 예정으로 오늘은 Catepillar, Loews, Seagate Technology등이 개장전 발표, 장외시간에는 Steel, DennyDenny’s등이 예정.
하지만 시장의 포커스는 화요일 장외 시간에 발표예정인 Apple에 맞춰질 예정.
3. 미국 선물지수는 플랫.
저번주의 실망스런 테크주들의 어닝으로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던 선물시장은 카테필라의 어닝 서프라이즈로 소폭 상승전환.
유럽시장은 하락, 아시안 시장도 대체적으로 하락마감.
4. 국제유가는 미국의 강한 경기지표와 호조로 급등했으나 무역전쟁 우려로 하방 압박.
5. 트럼프, 국경지대 장벽과 이민개혁과 관련한 본인의 제안을 의회에서 거부할 경우 정부셧다운으로 협박.
마감시황
머니투데이 // 3대 지수, 대형 기술주 급락에 일제히 하락…나스닥, 1.4%↓
뉴욕증시가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등 대형 기술주의 급락에 하락했다.
30일(현지시간)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일대비 107.41포인트(1.4%) 떨어진 7630.00으로 마감했다. 페이스북(-2.2%), 아마존(-2.1%), 애플(-0.6%), 넷플릭스(-5.7%),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1.8%) 등 대형 기술주의 ‘FANNG‘ 종목들이 모두 급락했다. 나스닥은 이로써 지난 3거래일 동안 무려 3.9%나 하락했다.
S&P500지수는 전일대비 16.22포인트(0.6%) 내린 2802.60으로 장을 끝냈다. 기술업종이 1.8% 급락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144.23포인트(0.6%) 하락한 2만5306.83으로 거래를 마쳤다.
트위터는 지난 27일 20.5% 급락한데 이어 이날도 8% 떨어지며 S&P500 기업업종에서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투자자들은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회의에도 주목했다.
CME 그룹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의 이달 금리인상 가능성을 3%로 평가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9월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연준이 이번 회의를 통해 제시할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해 단서를 기다리고 있다.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연준 회의를 앞두고 장중 2.99%까지 올랐다. 6월 13일 이후 최고치다.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 투자자들이 이번주 연준 증 주요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회의에 주목하면서다.
국제유가는 글로벌 원유공급 우려에 상승했다.
미국유가는 3주만에 배럴당 70달러를 다시 돌파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대비 배럴당 1.44달러(2.1%) 오른 70.1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 7월 10일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70달러를 돌파했다. 런던 선물거래소에서 9월분 북해산 브렌트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68센트(0.9%) 상승한 74.97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미국의 이란 핵협정 파기에 따른 제재 복원이 다가오고 있는 데다 리비아, 베네수엘라 등의 생산 차질도 지속되면서 글로벌 원유공급 차질 우려가 유가상승을 이끌었다.
서울경제 // 中, 주식시장 활성화 위해 외국인 투자 규제 완화
중국 정부가 주식시장 활성화를 위해 외국인 투자 규제 완화책을 내놨다. 최근 중국은 미국과 무역전쟁을 치르며 커지고 있는 자금 이탈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시장 개방을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은 무역전쟁의 여파로 중국 내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해 금융 시장 개방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달엔 ‘적격외국인기관투자자(QFII), 위안화적격외국인기관투자자(RQFII)에 대한 차익송금 한도, 보호예수기간 규정을 없애고, 외환헤지를 허용하는 등 외국인 기관투자자들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매일경제 // 다시 불붙는 신흥국 위기…이번엔 이란·파키스탄·브라질
이란, 美경제제재 앞두고 하루새 리알화 14% 폭락
中 일대일로 사업에 재정파탄…파키스탄, IMF구제금융 눈앞
브라질은 10월대선 정치불안, 경제 동면상태…헤알화 급락
터키, 美와 갈등에 불안 커져
머니투데이 // 위안화 국제화 포기했나…中, 달러채 발행 사상 최대
블룸버그통신은 29일(현지시간) “중국 기업과 은행, 심지어 정부까지 지난해 달러 표시 채권 발행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며 “중국 정부의 역내 채권시장 규제 강화, 중국 기업의 해외 투자 확대가 원인”이라고 보도했다.
쿵푸본드 발행에 가장 적극적인 중국 기업은 부동산개발업체들이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개발과 관련된 쿵푸본드 발행 규모는 420억달러(47조원)로 2016년보다 무려 300%나 늘었다. 반면 판다본드(역내 위안화 표시 채권) 발행은 지난해 719억위안(약 12조원)에 그쳐 한 해 전보다 46% 감소했다.
달러 표시 채권은 위안화 약세와 맞물리면서 중국 경제를 위협하는 또 다른 뇌관이 되고 있다.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낮아진 만큼, 기업의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 ‘차이나 에너지 리저브 앤드 케미컬스(CERC)’는 지난 5월 3억5000만달러(약 3918억원)의 달러 표시 채권에 대해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했다.
오늘의 한마디
저번주 테크주들의 충격적인 몰락? 으로 인해 시장 분위기가 굉장히 어수선합니다.
여기저기 부정적인 뉴스가 쏟아지고 있네요.
일단 세계 경제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베네수엘라와 이란의 미국의 제재로 자국통화가치가 폭락하고 물가가 급등하면서 하이퍼 인플레이션 우려마자 낳고 있습니다.
베네수엘라는 물가가 올해 백만%가 오를것으로 예상되고 4월에만 1만 3000% 상승으로 사실상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진입했고 이란도 리라화가 연초대비 158%나 폭락하며 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도 올해 금리인상으로 인한 통화가치 하락을 견디지 못하고 IMF에 구제금융을 받을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무역전쟁 + 환율전쟁까지 겹치면서 고래싸움에 신흥국들이 죽어나가는 형국입니다.
여기에 중국은 미국에게 철저히 짖밟히는 모양세입니다.
궁극적으로 위안화의 기축통화를 꿈꾸던 중국은 지난해 발표된 국제시장에서 사용되는 위안화 비중이 스위스 프랑보다도 적은 1.61%로 나타나 달러를 대체하기는 커녕 변방통화 지위에 그쳤습니다.
여기에 중국기업들의 위안화 표시 채권이 아닌 달러화 표시 채권발행이 작년[2017]에 2016년 대비 300%나 늘었다는 뉴스가 있습니다.
기업들의 부채가 너무 높아지면서 중국정부가 채권시장을 강하게 규제하자 이를 피하기 위해 부동산기업등이 달러화로 표시된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확보한 건데 이번해 들어 위안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이들기업들의 채무상환 부담이 배로 커진겁니다.
최근의 중국 채권시장의 부도율이 급등하는 부분고 맞물리는 거죠.
중국정부가 급속도로 무너지는 채권시장을 막기위해 지준율 인하다 뭐다 해서 유동성을 시장에 퍼부으면서 인공호흡을 하고 있는건데 위안화가 추가 절하되는 모양세가 긍정적이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주요 차트
S&P500 / SPX
- 7/11일부터 이어진 작은 상승추세선을 벗어나 추가하락 가능.
- 피보 0.786% 레벨에서 hovering, 마감을 할 경우 긍정적 신호.
- MACD가 꺽이는 지점으로 보이며 Ascending Channel의 지지라인 & 피보 681레벨까지 하락 가능성.
NASDAQ / IXIC
- 50일 이평선과 만나는 (5/3일 저점부터 만들어진) 상승추세선이 오늘 뚫림.
- 피보나치 0.786 레벨인 7655레벨에서 마무리가 될 경우 향후 추세에 긍정적으로 보임. [매우 공격적인 단기 투자자의 경우 지금 저점매수 시점]
- RSI 2월부터의 저점을 잇는 추세선이 무너질 경우 시장이 하향추세로 전환할 가능성.
- 지금 지지선이 뚫릴경우 2/3일부터의 6개월 추세선과 피보 0.618% 레벨 <-> 6/28일 저점과 겹치는 레벨인 6430대까지 하락가능.
Netflix / NFLX
- RSI이 과매도 레벨에 닿아 곧 반등이 이루어질 가능성
- Gartley Pattern 이 컨펌되어 반등가능성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