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시황]오늘의 주요뉴스와 지표 12/03/2019

미국증시 // 오늘의 주요뉴스와 지표

1⃣ 트럼프 런던에서 ‘미중 무역합의 내년 대선이후로 할수도 있다’는 발언이후 시장 급락.

2⃣ 프랑스의 미국기업을 겨냥한 디지털세에 보복관세 천명 / 와인과 치즈등 프랑스 수입품에 최대 100% 관세부과예정 / 프랑스는 보복시사.

3⃣ Salesforce 장마감후, 실적보고 예정 [예상 어닝 $0.66 / 매출 $4.45B] / Workday 장 마감후, 실적보고 예정 [예상 어닝 $0.37 / 매출 $921M].

4⃣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 곧 ‘신뢰할수 없는 기업 리스트’ 곧 발표 예정이라 보도 / Fedex, HSBC, Citi Group등 미국기업들이 포함될것으로 예정.

5⃣ 사이버데이 매출 전년대비 17% 상승예정 / 미 증시는 미중무역협상 난항예상에 다우 100포인트 이상 하락출발.

▶ 미 달러 인덱스 97.83 📉
▶ 미 10년물 금리 1.795%로 -2.25% 📉
▶ WTI 크루드오일 55.38로 -1.04% 📉
▶ 골드 $1,477로 +0.58% 📈

📊 Market Focus: Salesforce, Fedex, Citi, Nvidia, L Brands, Boeing, Apache

🖋 ITK 오늘의 한마디

‘관세맨’이 돌아왔습니다.

트럼프는 오늘 런던에서 중국과의 합의를 내년 대선이후에 할수도 있다는 발언을 하며 시장에 굉장히 큰 실망감을 주고 있습니다.

어제 트럼프는 이미 트위터를 통해 남미의 대표적인 국가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를 타겟으로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복원하겠다는 공지를 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어제 오후에는 USTR이 프랑스가 도입한 디지털세가 미국기업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주장으로 치즈와 와인등 프랑스의 수입품들을 최대 100%까지 보복관세를 할것이라 발표했습니다.

미중 무역 1단계 합의로 전세계에 훈풍이 돌던 증시에 순식간에 남미부터 유럽과의 글로벌 관세전쟁과 중국과의 합의무산 가능성까지 대두되며 찬바람이 휘몰아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에서는 관영매체가 ‘믿을수 없는 기업리스트’ 발표가 임박했다고 보도한 가운데 미중 무역협상이 좌초될 것이란 예상이 떠오르면서 희토류 관련주가 폭등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올해내내 미 증시의 상승동력은 미중무역합의 가능성과 연준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였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미중의 무역합의가 무산된다면 증시는 큰 폭의 조정을 감당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위의 뉴스는 모두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봐야 할것입니다.

홍콩인권법으로 막바지에 이르렀던 미중 무역합의가 중국의 저항을 받으면서 협상의 불확실성이 대두되고 있는것이죠.

홍콩인권법이 서명되자 막바지에 다달았던 협상이 꼬이기 시작한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이 모든 기존관세의 철회를 요구한 것으로 보이는데 트럼프로써는 이를 받아들이기 힘들었을것입니다.

사실 그동안 미국과 중국이 무역으로 대립하면서 많은 이득을 본것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로 중국이 미국산 대두등 농산품 수입을 중단하고 이들 남미국가들로 대체하면서 미국농가의 파산율이 20%이상 급등했죠.

현재 중국은 1단계 무역합의를 위해 기존관세 철회와 함께 자국의 ‘믿을수 없는 기업리스트’ 발표와 희토류 수출 제한 카드를 내밀며 홍콩인권법에 대한 강공카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들 국가에 대한 관세부과 협박은 이들 남미국가에게는 중국으로의 농산품 수출을 제한하라는 무언의 협박이고 중국에게는 지금 합의를 하지 않으면 미 농산품의 대체지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로부터도 수입하기 어려워질수 있음을 보여주는 협박카드로 보여집니다.

일단 시장은 급작스럽게 몰아닥친 남미와, 유럽, 그리고 중국까지의 글로벌 관세전쟁에 대한 두려움이 장악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새벽이 오기전 가장 어둡다는 말도 있듯이 양국의 협박전략이 통해 서로 조금씩 양보를 할 수 있다면 필요에 의한 1단계 합의가 불가능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또한 최근 연준이 계속해서 완화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고 다가오는 잠재적 리스크에 대응을 할것이란 점에서도 시장에는 어느정도의 하방압력을 상쇄하는 버프로 작용할것으로 보입니다.

Check Also

[투자]오늘의 비지니스와 경제: 05/13/2021

오늘의 비지니스와 경제 월가 모닝브리핑 전일 미 증시는 예상을 몇배나 뛰어넘는 소비자물가지수에 경악하며 3대 지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