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시황]오늘의 주요뉴스및 지표 02/12/2020

미국증시 // 오늘의 주요뉴스와 지표

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45,171명, 사망자 1,115명 / 감염자수 추세 둔화 뚜렷하나 이번주부터 양성반응이 나와도 뚜렷한 증상이 없으면 감염자로 반영하지않는 중국의 감염자 산출방식의 변화로 인한것일수 있다는 주장.

2⃣ 버니샌더스 뉴햄프셔 프라이머리에 피트 부티지지에 1%포인트차로 승리 / 조바이든은 5위.

3⃣ OPEC은 중국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글로벌 수요가 하루 30만배럴까지 줄어들것으로 예상.

4⃣ 제롬파월 연준의장 미 의회 청문회 이틀째 진행예정 / 필라델피아 연준의장인 패트릭하커 발언예정.

5⃣ 글로벌증시는 코로나바이러스 둔화세로 대부분 상승 / 미 3대지수는 ET 7:30분기준 S&P500 +0.37%상승출발 / 주요어닝보고 기업: CVS, Cisco, Shopify등 / Lyft는 실적보고후 5%가량 하락 / 오전 10시반[ET]에 오일재고량 발표예정.

📊 China Shanghai Index +0.87% 📈
📊 Korea Kospi +0.69% 📈
📊 Stoxx Europe 600 Index +0.48% 📈

▶ 미 달러 인덱스 98.63로 +0.04% 📈
▶ 미 10년물 수익률 1.619%로 +1.86% 📈
▶ WTI 크루드오일 50.76로 +1.64% 📈
▶ 골드 $1,568로 -0.08% 📉

🖋 ITK 오늘의 한마디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어제부터 반등세를 보이고 금은 약세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안전자산이 물러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달러는 계속해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강세는 중국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의식한 글로벌 환율의 가치 추락과 유럽의 경기둔화로 만들어지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의 양면성은 이제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오래가지 못할것이라는 예상은 하면서 이로인한 경제둔화의 위험성으로 연준이 금리인하를 해야한다는 기대는 하고있습니다.

어제 청문회에서 열린 제롬파월의장의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는 발언은 금리인하 가능성으로 받아들일수 있다는 WSj의 보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보자면 발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한 영향 주시하고 있으나 이로인해 올해 금리동결에 대한 뷰는 바뀌지 않음.
2. 미국의 경제활동은 완만히 증가하고 있으며 고용시장은 더욱 견고해짐.
3. 레포시장의 개입은 은행들의 초과지준이 적정수준을 넘어가면 점점 개입을 줄여 대차대조표 확대를 둔화시킬것.
4. 경제침체에 대응할수있는 연방예산을 지속가능한 경로에 두도록 의회에 경고.
5. 침체시 대응할 수 있는 연준의 금리정책이 이미 낮아 한계가 있음.

출처: Bloomberg / 2017년 11월 이후 가장 큰 괴리를 보이고 있는 유로화와 유럽주가

ECB 라가르드 총재 역시 어제 저금리가 자산의 상승을 만들어 내고 있다고 우려했으며 호주 중앙은행은 최근 원자재 하락으로 인해 호주달러가 추락하고 있음에도 금리인하가 주식시장에서 차입금액이 줄어들어 투자결정을 왜곡해 자산시장이 더 과열될수 있다며 금리인하에 선을 그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결국 중앙은행들의 금리인하를 불러올지는 두고봐야겠으나 제롬 파월이 말하는 경제 좋을떄 계속 금리인하 해놓으면 진짜 위험이 닥치면 뭘로 대처를 할지 그것도 의문입니다. 이미 QE아닌 QE는 시작했는데 말이죠.

Check Also

[투자]오늘의 비지니스와 경제: 05/13/2021

오늘의 비지니스와 경제 월가 모닝브리핑 전일 미 증시는 예상을 몇배나 뛰어넘는 소비자물가지수에 경악하며 3대 지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