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금리인상 이후 세계 금융시장은 통상적인 반응과는 거꾸로 움직였다.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시장의 예상보다도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달러화 가치는 떨어지고 증시와 국채, 원유, 금 가격은 올랐다. 달러화에 대한 투자매력이 떨어지면서 주식과 채권, 원자재로 돈이 몰렸기 때문이다.
연준은 1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0.75~1.00%로 조정했다. 연준은 이날 올해 안에 2차례의 추가 금리인상이 이어질 것임을 시사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세계 금융시장의 반응이 거꾸로 나타난 이유는 향후 금리인상에 대한 연준의 매파(긴축) 기조가 누그러졌기 때문이다. 상당수의 투자자들은 당초 올해 안에 4번의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그러나 연준이 올해 3차례의 금리인상만 있을 것임을 시사하자 시장은 통상적인 움직임과는 정반대의 반응을 보였다.
연준이 이날 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발표한 ‘점도표(dot plot)’를 보면 통화정책 결정에 관여하는 FOMC 위원들의 올해 말 금리 전망치 중간값은 종전의 1.375%로 유지됐다. 지난해 12월 FOMC에서처럼 25베이시스포인트(bp=0.01%)씩 올해 모두 세 차례 금리를 올릴 수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FOMC 회의를 마친 뒤 금리 인상 결정 배경에 대해 한마디로 “이번 금리 인상의 간단한 메시지는 바로 미국 경제가 잘 돌아가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경제가 예상대로 계속 좋아지면 연준의 기준 금리를 장기 중립적 목표인 3%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올리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닛 의장은 “이번 금리 인상 결정에는 우리가 너무 오래 기다리면 향후 어느 시점에 금리를 급격히 올려야 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자칫 금융시장이 붕괴되고 경제가 침체될 수 있다는 의견도 반영됐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기사보기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