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달러강세와 이머징마켓

출처: CNNMoney

 

본 Article은 신한은행 수석연구원이신 오건영님의 허락하에 게재합니다.

 

Posted: 5/14/2018

전일 뉴욕 증시.. 트럼프가 중국 무역에 대해 다소 호의적인 스탠스를 보이면서 미중 무역 갈등이 완화돌 것이라는 기대감에 상승했다고 말하기가 조금 애매한 수준으로 강보합 상승했답니다. 미중 무역 갈등이 완화되면 호재 아닌가요?

지금까지 시장을 억눌렀던 요인인데 그게 완화되면 큰 폭 상승이 나와야할진데… 좀 애매한 듯 하네요.

 

여러분들이 기업인이라고 생각해보시면 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수출 관련 사업을 하시는 겁니다.

그런데 대통령이 무역 정책에 상당한 혼선을 주는 겁니다. 이랬다가 저랬다가 왔다 갔다 하는 거죠.

그럼 과감히 설비 투자를 늘릴 수 있을까요?

특히 이머징 국가가 그렇습니다. 이머징국가에서는 가뜩이나 자본력이 약한데..(이걸 원시 자본의 축적이 미약하다는 표현을 쓰죠) 약간의 불확실성이 있다면 투자하기가 상당히 망설여지겠죠.

환율이 대표적입니다.

환율이 널뛰면 가격 안정성이 없으니 투자가 어려운 거쟎아요? 그래서 이머징 국가에서는 국가가 직접 나서 고정환율제를 쓰면서 기업 투자를 이끌어내려고 노력하는 겁니다.

 

 

애니웨이… 트럼프의 정책 변화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끼기에도 믿음이 가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중국에 호의적이다가 또 언제 어떻게 뒤집어질지 몰라.. 이렇게 된다면 진정한 의미에서의 설비 투자가 이루어지기 어렵겠죠.

이건 글로벌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을 높여주게 됩니다. 이제 시장도 그걸 아는 것 같네요. 트럼프 정책에 일희일비하면 안된다는 것을…

그리고 한가지 더… 1분기 어닝 시즌이 거의 끝났죠.

주요 기업들 실적 발표는 거의 마무리된 것으로 보이는데요.

환상적인 실적 발표가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나스닥 정도를 제외하면 아직 증시의 회복세는 지난 1월 말 숫자에 비해서는 다소 초라해보입니다.

지난 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시장이 호재에는 민감하게 악재에는 둔감하게 반응했다면 이제는 악재에도 상당히 신경쓰는 모습입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브라질 금리 인하 가능성이죠.. 기사 인용합니다.

링크: 브라질 “경기회복 속도 느려”…기준금리 추가 인하 의견 우세

 

 

브라질 경기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당연히 경기 부양을 하려면 금리 인하를 해주는 게 좋겠죠.

그런데요… 국가 내부적으로는 이게 맞는데 대외적으로 얘기가 조금 다릅니다. 달러 강세가 나오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유동성이 브라질에서 빠져나가려고 한다고 가정해봅니다.

브라질이 금리 인하를 하면서 헤알화 유동성 공급을 늘리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네… 헤알화 공급이 늘어나니 헤알화 가치가 하락합니다.

출처: 서울경제

 

외람된 비유지만… 그럼 여러분들이 헤알화 가치 상승에 베팅하고 들어온 환투기꾼이라고 가정을 해봅니다.

헤알화 공급이 늘면서 헤알화 가치가 하락할 것 같아요. 그럼 언능 헤알화를 팔고 달러화를 사서 도망쳐야 하는 것 아닐까요?

네.. 그럼 헤알화 가치는 하락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탈하면서 브라질 내 유동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엥? 금리를 인하하면서 헤알화 유동성을 공급했는데 외국인이 빠지면서 오히려 브라질 내 유동성이 줄어든다?? 네… 이런 걸 전문 용어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고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요… 이렇게 되면 헤알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브라질 입장에서 볼 때 수입 물가가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죠.

수입 물가가 상승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인플레에 대응하기 위해서…

아.. 금리 인하를 하고서 얼마되지 않아 금리 인상을 하게 된다.. 이 수가 뻔히 보이게 된다면… 어떤 반응을 보이게 될까요..

저 같은 아마츄어도 알 정도면… 시장의 선수들은 당연히 제대로 움직이고 있겠죠… 브라질 중앙은행이 자신들이 콘트롤할 수 있는 정책 금리인… 기준 금리를 낮추려고 하더라도… 시장 금리…는 상승하게 되는 겁니다.

 

자… 이런 전제로 전일 브라질 시장을 보시죠…

브라질 증시는 금리 인하라는 호재 앞에서… 강보합을 보여줬구요…(그것도 장중에는 마이너스였답니다).. 브라질 10년 국채 금리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달러 대비 헤알화 환율은 하늘로 치솟으면서 달러 당 3.6헤알을 훌쩍 넘어섰네요.. 지난 1월 말에… 달러 당 3.2헤알을 하회했던 것을 상기해본다면… 거의 10%이상 헤알화 가치가 하락한 겁니다.

10%이상 헤알화 가치가 하락하면… 당연히 수입 물가가 10%가까이 오를 수 있다는 의미인가요? 네.. 중앙은행이 지덜이 결정할 수 있는 정책 금리인 기준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되는 시중 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네.. 여기까지 정리합니다.

브라질이 금리 인하를 합니다. 외국인 투자 자금이 이탈하고.. 헤알화 가치가 하락합니다. 수입 물가가 오를 것이라는 기대에 브라질 시장 금리가 상승합니다.

여러분, 혹시.. 한국은행 기준 금리로 거래해본 적 있으세요? 한국은행 모기지론… 한국은행 직장인 신용 대출… 이런 거 겪어보신 적 없죠?

네… 시중 은행의 금리… 시장 금리… 이게 실생활에 적용됩니다… 브라질의 정책 금리 인하는 시장 금리 상승을 불러.. 경기에 뒷통수를 날린다니… 참 아이러니 하네요..

 

엥? 지난 해에는 브라질 기준 금리 인하한다고 하니까.. 브라질 증시 폭등하고 브라질 시장 금리도 낮았고… 아주 좋았는데.. 지금은 어떻게 된 것인가…

네.. 맞죠.. 지난 해에는 달러가 약세였답니다. 미국 금리 인상 속도도 빠르지 않았고… 미국 금리의 절대 레벨도 그닥 높지 않았었죠..

달러가 약세를 보인다면… 헤알화 공급이 늘더라도.. 달러화 대비 헤알화 가치가 하락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없으니.. 헤알화를 팔고 도망치는 외국인도 없죠… 그럼… 브라질이 금리 인하를 해서… 헤알화 공급을 늘린 게 브라질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주게 되는 겁니다.

그런데.. 지금은 환경이 바뀌었죠… 네… 달러 약세에서… 달러 강세로 바뀌었습니다. 이머징의 쥐약… 달러 강세가 나오고 있네요…

 

터키 통화 가치는 연일 하락에 하락을 거듭하면서 사상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구요…

중국 위안화 가치도 절상을 시도하다가 하릴 없이 밀려내려오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장단기 금리는 계속해서 오르면서.. 10년 국채 금리 기준 3.0%를 다시금 넘어섰네요… 꼭 대학교 때.. 학점 보는 느낌입니다. “3.0”의 위엄인가요?ㅎㅎㅎ 그럼 3.5는 어떨까요? T.T

 

마지막으로 어제 에세이에서 4월 18일에 대해 말씀드려보겠다고 했는데.. 역쉬.. 오늘도 딴 얘기 하느라… 언급을 못드렸네요…

4월 18일은… 취약한 이머징 국가들… 즉.. 터키,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만 흔들린 것이 아니라.. 나름 멀쩡해보이는 이머징 국가들의 통화 가치도 하락하기 시작한 시기입니다.

나름 멀쩡해보이는 이머징 국가라면… 한국?? 노우.. 한국은 레벨이 높구요~~ 이머징의 끝판왕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ㅎㅎ

 

터키, 아르헨티나… 다음 레벨이면… 동유럽의 국가들을 말합니다 헝가리 포린트화, 폴란드 즐로티, 체코 코루나… 이런 통화 가치를 눈여겨보시죠. 기가 막히게.. 4월 18일부터 환율 상승(통화 가치 하락)으로 전환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나 시리아 영향일 것이다?? 아뇨… 러시아… 시리아 이슈는 4월 18일 이전에 어느 정도 소강상태로 접어들었구요…

4월 18일 이후… 이머징 국가 통화의 변화를 살펴보시면.. 지금 시장 상황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쓰죠.. 감사합니다.

오건영 수석연구원 / Economist

at 신한은행[Shinhan Bank]

Check Also

[인사이트]오건영 팀장 에세이: 2021년 연간전망 2부

신한은행 오건영 팀장 에세이 2021년 연간전망 2부 연간 전망 2부를 시작합니다. 1부에서는 그런 말씀을 드렸죠. …

의견을 남겨주세요!